내용 정리(50)
-
JavaScript (Front End) ... Part 1
사이트: edwith 강의: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 챕터 2, DB 연결 웹 앱 학습일: 2020년 3월 19일, 20일 0. 소개 기본 개념 서비스의 구조가 단순하더라도 백엔드 관련 배경지식은 상당히 많이 필요 데이터: 웹사이트에 표시되는 내용 데이터베이스: 데이터를 관리하는 데 필요한 프로그램 JDBC: Java에서 데이터를 쓰고, 읽고, 수정, 삭제하는 데 쓰이는 프로그램 부스트코스에선 MySQL 데이터베이스, Spring JDBC를 이용 FE(Front End)의 Key Point JavaScript: 웹 화면의 다양한 요소를 움직이는 데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 DOM, 이벤트, 서버와 통신하는 Ajax BE(Back End)의 Key Point JSP Servlet과 쓰는 방법이 다르지만,..
2020.04.02 -
Java Servlet (Back End) ... Part 2
사이트: edwith 강의: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 챕터 1, 웹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일: 2020년 3월 7일 5. Servlet - BE Servlet의 생명주기(Life Cycle) 생명주기: Servlet이 언제 생성되고, 어떤 메서드가 언제 어떻게 호출되는지의 메커니즘 Servlet의 동작 순서 클라이언트의 URL 요청 (링크 클릭, 직접 URL 입력 등) WAS가 URL과 매핑된 Servlet을 찾아 실행시킴 해당 Servlet 클래스가 메모리에 이미 존재하는지를 먼저 확인 만약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생성자 메서드를 호출해 새로 Servlet 클래스를 생성하고 메모리에 올림 init( ) 메서드 호출 service( ) 메서드 호출 페이지를 새로고침하는 경우(요청된 Servlet이 메모리..
2020.04.01 -
Java Servlet (Back End) ... Part 1
사이트: edwith 강의: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 챕터 1, 웹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일: 2020년 3월 6일 5. Servlet - BE Servlet이란? Servlet의 정의 Java 웹 어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 중 동적 처리를 하는 프로그램 WAS에서 동작하는 Java 클래스 HttpServlet 클래스를 상속받아야 함 동적 처리: 동적으로 응답결과를 만들어 냄 응답할 페이지가 미리 있지 않고, 요청이 들어오면 Servlet이 실행되어 만들어진 코드를 응답 웹페이지 개발 시 JSP와 함께 적절하게 혼용하여 더 좋은 결과를 얻어냄 예시) 웹페이지 구성화면(HTML)은 JSP, 복잡한 프로그래밍은 Servlet으로 구현하는 등 Java 웹 어플리케이션: WAS에 설치(deploy)되어 동작하는 ..
2020.04.01 -
Java 개발환경 설정 (Back End)
사이트: edwith 강의: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 챕터 1, 웹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일: 2020년 3월 2일, 3일 4. Java 개발환경 설정 - BE JDK(Java SE Development Kit) 다운로드 및 설치 다운로드 다운로드 페이지 접속 → Java SE 링크 → Java SE 8의 JDK Download 링크 → 운영체제에 맞는 JDK 다운로드 설치: 기본값으로 설치 운영체제별로 다른 JDK를 설치해야 하는 이유 Java 파일은 작성 시 .java 파일로 생성되며, 실행 시 .class 파일로 컴파일됨 .class 파일은 OS 종류와 상관 없이 실행되고, 이런 특징을 'OS에 독립적'이라고 함 OS에 독립적이기 위해선 파일의 실행 환경인 JRE가 운영체제별로 필요함 JRE는 J..
2020.03.31 -
HTML과 CSS (Front End)
사이트: edwith 강의: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 챕터 1, 웹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일: 2020년 2월 28일, 29일 2. HTML - FE HTML 태그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각 쓰임새에 맞게 쓰는 것이 권장됨 쓰임새에 맞게 HTML 태그를 작성하는 것을 '의미론적(Semantic)'이라고 함 HTML 레이아웃 태그 레이아웃: HTML 화면의 기본적 구성 요소 예시) 상단(header), 하단(footer), 내비게이션 바(nav) 등 header, footer 등은 쓰임새가 이름에 드러나있을 뿐, 실질적으론 div와 동일하게 block element로 간주됨 HTML 본문의 경우 브라우저 호환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PC와 Mobile에서의 작성 방식이 다소 다름 PC: 브라우저 호환성 이슈..
2020.03.31 -
웹 개발의 이해 (Front End / Back End) ... Part. 3
사이트: edwith 강의: [부스트코스] 웹 프로그래밍 챕터 1, 웹 프로그래밍 기초 학습일: 2020년 2월 27일 1. Web 개발의 이해 - FE / BE 웹 서버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를 지칭하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컴퓨터를 지칭하기도 함 가장 중요한 기능: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는 HTML 문서나 각종 리소스를 전달 클라이언트: 일반적으로 웹 브라우저를 칭하지만 웹 크롤러도 포함됨 웹 브라우저, 웹 크롤러가 요청하는 리소스는 정적인 데이터, 동적인 결과 모두 될 수 있음 정적(static) 데이터: 이미지, HTML 파일, CSS 파일, JavaScript 파일 등 컴퓨터에 저장된 파일 동적 결과: 웹 서버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을 통해 만들어진 결과물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클라이언트와 서버..
2020.03.30